💡 문제 1987번: 알파벳 문제 세로 R칸, 가로 C칸으로 된 표 모양의 보드가 있다. 보드의 각 칸에는 대문자 알파벳이 하나씩 적혀 있고, 좌측 상단 칸 (1행 1열) 에는 말이 놓여 있다. 말은 상하좌우로 인접한 네 칸 중의 한 칸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새로 이동한 칸에 적혀 있는 알파벳은 지금까지 지나온 모든 칸에 적혀 있는 알파벳과는 달라야 한다. 즉, 같은 알파벳이 적힌 칸을 두 번 지날 수 없다. 좌측 상단에서 시작해서, 말이 최대한 몇 칸을 지날 수 있는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말이 지나는 칸은 좌측 상단의 칸도 포함된다. 입력 첫째 줄에 R과 C가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1 ≤ R,C ≤ 20) 둘째 줄부터 R개의 줄에 걸쳐서 보드에 적혀 있는 C개의 대문자 알파벳들..
💡 문제 문제 그래프를 DFS로 탐색한 결과와 BFS로 탐색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단, 방문할 수 있는 정점이 여러 개인 경우에는 정점 번호가 작은 것을 먼저 방문하고, 더 이상 방문할 수 있는 점이 없는 경우 종료한다. 정점 번호는 1번부터 N번까지이다. 입력 첫째 줄에 정점의 개수 N(1 ≤ N ≤ 1,000), 간선의 개수 M(1 ≤ M ≤ 10,000), 탐색을 시작할 정점의 번호 V가 주어진다. 다음 M개의 줄에는 간선이 연결하는 두 정점의 번호가 주어진다. 어떤 두 정점 사이에 여러 개의 간선이 있을 수 있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간선은 양방향이다. 출력 첫째 줄에 DFS를 수행한 결과를, 그 다음 줄에는 BFS를 수행한 결과를 출력한다. V부터 방문된 점을 순서대로 출력하면..
💡 페이징(Paging) 프로세스의 주소 공간을 페이지(page)란 단위의 고정된 사이즈로 나누어 물리적 메모리에 불연속으로 저장하는 방식 → 연속 할당에서처럼 연속적인 메모리 공간을 찾거나 만들 필요가 없음 → 외부 단편화 해결할 수 있는 메모리 관리 기술이다. 두루마리로 책을 작성하는 것과 사전형식으로 책을 작성하는 것의 차이처럼 한 프로세스의 논리 주소 공간을 동떨어진 공간들에 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해준다. Dynamic allocation한 형태(동적할당) : 한 프로세스에 대한 논리적인 주소를 물리적인 주소로 매핑해줌 (어디에 할당되든 일관되게 사용가능함 ) (참고로 모든 프로세스는 0번부터 할당 되어짐) 💡 페이지 테이블(Page Table) 페이지 매핑 테이블(Page mapping Tabl..

💡페이지 교체 페이지 부재(page fault)가 발생하면 요청된 페이지를 디스크에서 메모리로 읽어와야 한다. 이때 물리적 메모리에 빈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물리적 메모리에 올라와 있는 페이지 중 하나를 선택해서 디스크의 스왑 영역으로 보내야 한다. 스왑이라함은 시스템에 메모리가 부족할 경우 하드 디스크의 일부 공간을 활용해서 작업을 도와주는 영역 → 즉 메모리 공간 부족을 위한 임시방편 이와 같은 과정을 페이지 교체라고 합니다. 🔑 페이지 부재란? CPU에서 현재 요청한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어 무효로 세팅되어 있는 경우로, 페이지를 디스크에서 읽어오는 과정에서 overhead가 발생하여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FIFO(First In First Out) 알고리즘 (페이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