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REST API에서 응답 코드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요청과 응답 과정에서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HTTP 응답 코드는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는지, 요청에 문제가 있었는지, 또는 서버 측에서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낸다. 주요 HTTP 응답 코드는 다음과 같다.
2xx (성공):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음을 나타낸다.
- 200 OK: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으며, 요청에 대한 응답 데이터가 있을 때 사용된다.
- 201 Created: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을 때 사용된다.
- 204 No Content: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지만, 반환할 데이터가 없을 때 사용된다.
3xx (리다이렉션): 요청된 리소스가 다른 위치로 이동되었음을 알리는 코드이다.
- 301 Moved Permanently: 요청한 리소스가 영구적으로 새로운 URL로 이동되었음을 나타낸다.
- 302 Found: 요청한 리소스가 일시적으로 다른 위치에 있을 때 사용된다.
4xx (클라이언트 오류): 클라이언트 측에서의 요청 오류를 의미한다.
- 400 Bad Request: 요청이 잘못되어 서버가 이해하지 못할 때 사용된다.
- 401 Unauthorized: 인증이 필요한 리소스에 대해 인증 정보가 없거나 올바르지 않을 때 사용된다.
- 403 Forbidden: 권한이 없어 요청을 거부할 때 사용된다.
- 404 Not Found: 요청한 리소스를 찾을 수 없을 때 사용된다.
5xx (서버 오류): 서버 측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음을 의미한다.
-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 내부에서 알 수 없는 오류가 발생했을 때 사용된다.
- 503 Service Unavailable: 서버가 일시적으로 요청을 처리할 수 없을 때 사용된다.
이러한 응답 코드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요청에 대한 처리 결과를 알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다. RESTful 서비스에서는 이러한 응답 코드가 명확하게 정의되고 일관성 있게 사용되어야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원활한 통신이 가능해진다.
728x90
'Web > B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문자열 정렬 (String 오름차순/내림차순 , StringBuilder 람다식 ) (1) | 2025.02.20 |
---|---|
[Spring] JWT란? 토큰 기반 인증과 리프레시 토큰 (0) | 2025.02.20 |
[Spring] DI(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란? (0) | 2022.10.20 |
[Web | Maven] pom.xml 파일에 JSTL 라이브러리 추가 (0) | 2022.09.20 |
[Web] MVC 패턴 (0) | 2022.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