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백엔드5 [Spring] 02. 스프링 빈(Bean)과 스프링 컨테이너 ⓵ 스프링 컨테이너 스프링 컨테이너는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핵심으로, @Autowired 같은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되는 객체(빈)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객체의 생명 주기와 의존성을 제어하여, IoC와 DI를 통해 객체 간 결합도를 낮추고 유연성을 높인다. ⓶ 빈 (Bean)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하고 관리하는 객체로, 애플리케이션에서 필요한 서비스나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빈은 컨테이너에 의해 필요할 때 주입되며, 개발자는 이를 통해 객체 생성과 관리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참고로 스프링은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하기 위해 XML 파일설정, 애너테이션 추가 등의 방법을 제공한다. 즉 빈을 등록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다는 뜻이다.@Componet // 클래스 MyT.. 2025. 2. 21. [Spring] 04. 스프링 부트 요청 - 응답 과정 ( HTTP 요청 처리 과정) 💡 먼저 이전 글을 읽고 오자!더보기 Spring Boot에서 HTTP 요청이 발생할 때 프레젠테이션 계층, 비즈니스 계층, 퍼시스턴스 계층, 그리고 데이터베이스가 상호 작용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프레젠테이션 계층 (Presentation Layer): 사용자가 HTTP 요청을 보내면 프레젠테이션 계층이 요청을 받게 된다. 일반적으로 Spring Boot에서는 컨트롤러(@RestController 또는 @Controller)가 이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RequestMapping 또는 @GetMapping 등으로 매핑된 컨트롤러 메서드가 요청을 처리하게 된다. 컨트롤러는 요청을 필요한 서비스 계층으로 전달하거나, 필요한 경우 즉시 응답을 보낼 수 있다. 2. 비즈니스 계층 (Bus.. 2025. 2. 20. [HTTP - 2 ] URL 입력에서 웹 페이지 출력까지: HTTP 요청과 응답 과정 이해하기 ↘️ 관련 글 읽기[HTTP - 3 ] HTTP의 특징:쿠키(Cookie)와 세션(Session)의 차이점[HTTP - 1 ] HTTP란? : PUT과 PATCH의 역할과 차이점 📍주소창에 www.google.com 쳤을 때 나오기까지의 과정 1. URL 입력브라우저의 주소창에 www.google.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이 주소를 처리하기 시작한다.URL은 사용자가 원하는 웹 페이지를 요청하기 위한 출발점이다.2. DNS를 통해 서버의 IP 주소 찾기인터넷은 숫자(IP 주소)로 통신하지만, 사용자는 기억하기 쉬운 도메인 이름(예: www.google.com)을 사용한다.브라우저는 DNS 서버에 도메인 이름을 보내고, 해당 이름에 연결된 서버의 IP 주소를 받아온다.예: 142.250.19.. 2025. 2. 20. [ DB - 3 ] 인덱싱(Indexing)이란? : 인덱싱을 하는 이유 💡 [DB] 이전 글 다시 보기[ DB - 2 ]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 무결성이란[ DB -1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와 NoSQL의 차이점 📍 인덱싱(Indexing)이란?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 컬럼에 적용하는 기법이다.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조회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자료구조를 생성하여 테이블의 특정 열을 기반으로 빠르게 접근한다. 📍 인덱스의 특징주요 목적대규모 테이블에서 검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특히, 자주 조회되는 컬럼(조건문, 정렬 등에 사용)에 인덱스를 적용한다.자료구조일반적으로 B-Tree 자료구조를 사용하여 구현된다.B+-Tree는 B-Tree의 변형으로 검색 성능이 더 빠르지만, 수정, 삭제 시 오버헤드가 더 크다. 사용.. 2025. 2. 20. [ DB - 2 ] 트랜잭션(Transaction): 데이터 무결성이란 💡 [DB] 관련 글 다시 보기 [ DB - 3 ] 인덱싱(Indexing)이란? : 인덱싱을 하는 이유[ DB -1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와 NoSQL의 차이점 📍 DB가 백엔드 개발자에게 중요한 이유백엔드 개발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와 DB(Database)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성능 이슈 및 오류를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WAS에서 발생하는 오류뿐만 아니라 DB의 응답성 저하 또한 시스템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DB의 구조와 동작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효율적인 데이터 처리와 관리, 최적화된 질의(Query) 작성 및 문제 상황의 원인 분석을 위해 DB 지식은 필수적이다. 📍 트랜잭션이란?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데이터베이스.. 2025. 2. 20. 이전 1 다음 728x90 반응형